본문 바로가기
보건관리자

보건관리자 역활이란

by 공공기관 분석관 2023. 3. 31.
반응형

보건관리자 

보건관리자는 산업현장에서 근로자들이 건강하게 일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입니다. 

 

 

보건관리자 역활이란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많은 기업에서는 보건관리자 채용을 늘리고 있으며, 이에따라 취업준비생들 사이에서도 보건관리자 자격증 취득 열풍이 불고있습니다.

 

보건관리자 업무범위 

보건관리자 업무범위는 어떻게 되나요?

산업안전보건법 제16조 및 동법 시행령 제17조에 의거하면 사업장 내 유해인자(화학물질, 분진, 가스, 방사선 등) 노출기준 설정, 작업환경측정 실시 여부 결정, 특수건강진단 실시 여부 결정, 안전보건교육 계획 수립 및 교육실시, 보호구 지급·착용지도, 근골격계질환 예방조치, 직무스트레스 요인 파악 및 조치, 뇌심혈관질환 위험성평가 수행, 물질안전보건자료 비치여부 점검, MSDS 자료게시 또는 비치장소 제공, 화학물질 관련 경고표지 부착 이행상태 점검, 도급사업 시 원청업체의 의무이행 사항 준수확인, 기타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업무를 수행해야 합니다.

 

보건관리자 선임기준 

보건관리자 선임대상과 규모는 어떻게 되나요? 상시근로자 300인 이상이거나 공사금액 120억원 이상 건설업 현장이라면 반드시 보건관리자를 선임해야 하며, 상시근로자 50인 이상~300인 미만이면 의사나 간호사 면허 소지자 중 1명을 선임해야 합니다.

또한 상시근로자 5인 이상~50인 미만이라도 지방고용노동관서장이 보건관리업무 위탁계약을 체결한 기관에 보건관리자 업무를 위탁한다면 해당기관 소속 보건관리자를 선임할 수 있습니다.

보건관리자 시험과목은 어떻게 되나요? 시험과목은 산업위생학개론, 산업심리학 및 직업환경의학, 산업독성학,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작업환경관리대책, 물리적유해인자관리,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이며, 객관식 4지선다형으로 과목당 25문항씩 총 125문항이 출제됩니다.

합격기준은 매 과목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하여야 합니다.

 

보건관리자 응시자격

보건관리자 응시자격은 어떻게 되나요? 응시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의사: 의학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로서 산업위생관련 실무경력 2년 이상 종사자

-간호사: 간호학 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로서 산업위생관련 실무경력 2년 이상 종사자

-산업위생기사/산업기사: 산업위생학과 졸업 후 경력 2년 이상 종사자

-인간공학기사/산업기사: 인간공학 혹은 산업공학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로서 산업위생관련 실무경력 2년 이상 종사자

-대기환경기사/산업기사: 대기과학, 지구환경과학, 해양학, 환경공학, 기상학 전공자로서 산업위생관련 실무경력 2년 이상 종사자

-수질환경기사/산업기사: 수질환경전공자로서 산업위생관련 실무경력 2년 이상 종사자

-소음진동기사/산업기사: 소음진동 공학 학위소지자로서 산업위생관련 실무경력 2년 이상 종사자

-폐기물처리기사/산업기사: 폐기물처리 기사/산업기사 자격증 소지자로서 산업위생관련 실무경력 2년 이상 종사자

 

보건관리자 전망

보건관리자 전망은 어떨까요? 최근 정부정책상 산재사고 사망자수 감소를 위한 정책 추진중이고, 중대재해처벌법 제정추진등 사회적 분위기 변화로 인하여 향후 보건관리자 수요 증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기업에서는 간호사 출신의 보건관리자를 선호하고 있으며 수요가 많기에 이직률의 증가로 자격증 취득만으로도 중소기업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보건관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건관리자 선임 신고  (0) 2024.01.17

댓글